장석만, D.M. 라스무센, , 서광사, 1991, 160쪽(역) 책소개 종교상징론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서. 1장은 상징언어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철학적 기초를, 2,3,4 장에서는 상징에 대한 여러 종류의 해석학적인 틀이 언급된다. 5장은 상징을 매개로 문학적 담론과 종교적 담론을 연결시키고, 6장은 사회정치적 현상으로서 상징이 지니는 변혁적 역할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저자 D.M. 라스무센 역자 장석만 서울대학교 종교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서울대에 출강하고 있다. 주된 관심분야는 한국 근대성의 형성과 종교의 상호관계이며 현재 동학사상, 크로노스, 종교분쟁에 관한 책을 구상중이다. 박사논문은 「개항기 한국사회의 '종교'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이며, 그외 주요논문으로 「한중일 삼국..
장석만, 스타니슬라브, , 평단문화사, 1986, 95쪽(역) 저자 스타니슬라브 역자 장석만 서울대학교 종교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서울대에 출강하고 있다. 주된 관심분야는 한국 근대성의 형성과 종교의 상호관계이며 현재 동학사상, 크로노스, 종교분쟁에 관한 책을 구상중이다. 박사논문은 「개항기 한국사회의 '종교'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이며, 그외 주요논문으로 「한중일 삼국의 정교분리 담론」,「단발령의 정치학 : 근대성과 의병운동의 상징」,「미셀 푸코의 담화분석과 종교학 연구」등이 있다. 역서로는 등이 있다. 목차 목차 Ⅰ. 의식(意識)의 문 고대의 지혜와 현대과학 임상적인 죽음과 가사의 경험 저세상의 이미지들 영혼의 사후여행 죽음과 제의적 만남 정신분열과 환각상태에서의 죽음과 재생 에필로..
이진구,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9, 842쪽(공저) 저자 이진구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졸업, 동 대학원 석사학위(1988)와 박사학위(1996)를 취득하였다. 뉴욕 주립대학교(스토니 부룩) 객원연구원으로 있었으며, 한국종교문화연구소와 한국 기독교 역사 연구소의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4년 현재 호남신학대학교 강의전담 초빙교수로 있다. 목차 책머리에 : 박헌호.류준필 제1부 이념과 시각 1. 3.1과 5.4 2. 민족과 문명 3. 정의와 평화 4. 진화론 5. 개조 6. 낭만 7. 종교 제2부 주체와 제도 1. 미디어와 주체 2. 농민적 주체 3. 지역성과 주체 4. 식민적 주체 5. 학력주의 6. 젠더 7. 학생 8. 작가 9. 국가 제3부 기억과 재현 1. 개신교의 표상 2. 법정의 ..
이진구, ,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9, 406쪽(공저) 책소개 종교학과 유교의 전면적인 대면이 이루어지는 하나의 테이블을 마련한다. 1부에서는 유교의 삶과 가치를 일반적인 종교성과 타종교 전통, 그리고 학문적 이론과 조정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2부에서는 유교의 국가의례, 학교의례, 가정의례 등과 더불어 비공식적인 민중의례의 실천들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3부에서는 유교의 신관, 수양론, 역사적 담론 등의 특질이 되살아난다. 저자 이진구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졸업, 동 대학원 석사학위(1988)와 박사학위(1996)를 취득하였다. 뉴욕 주립대학교(스토니 부룩) 객원연구원으로 있었으며, 한국종교문화연구소와 한국 기독교 역사 연구소의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4년 현재 호남신학대학교 강의전담 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