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옥숭, , 바오로딸, 2002, 386쪽(공저) 책소개 종교대화와 영성의 토착화를 위해 노력해온 씨튼 연구원에서 1999년 "한국 신종교와 그리스도교"라는 주제로 실시한 종교대화 강좌 내용을 단행본으로 엮은 것이다. 1860년 동학이 창시된 이후로 변화의 격동기를 겪으며 한국에서 자생한 신종교는 현재 500개 이상이 되고 그 가운데 400개 내외가 전국에 산재해 있다. 여기서는 교세가 비교적 큰 천도교·대종교·원불교와 그리스도교의 관계 정립을 위한 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 책은 그리스도인들과 신종교인들의 지적(知的) 만남이 별로 없었던 현실에서 서로 얼굴을 맞대고 대화를 나누기 시작했다는 것만으로도 매우 큰 의의를 가진다. 서로에 대한 선입견에서 벗어나 올바른 이해와 참된 공존의 길을 모색해 보는 계..
차옥숭,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1, 222쪽(공저) 책소개 서구의 산업 문화에 의해 주도된 20세기 문명을 반성하고 주체적인 한국 생명 사상에 대해 기술했다. 기술 문명의 철학적 원리와 경쟁적이고 정복적인 경향을 반성하고 한민족의 생명 이해에 내포된 한국적 사유와 논리, 동학을 세우고 발전시킨 수운과 해월의 생명사상 및 20세기 후반 대표적 재야 인사이며 사상가인 함석현과 민주화 운동에 헌신한 시인인 김지하 등에 대해 자세하게 서술했다. 저자 차옥숭 차옥숭은 신학을 전공하였다. 1986년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종교학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서강대학교, 한신대학교, 가톨릭대학교 등에서 강사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전주 한일장신대학교에서 인문사회과학부 교수로 ..
차옥숭, , 서광사, 1997, 304쪽, 272쪽,318쪽(공저) 책소개 표상화된 종교 연구가 아닌 종교 경험에 대한 연구서. 저자가 직접 관찰한 내림굿 · 재수굿 · 마을굿 · 우환굿 · 넋굿의 구조와 의미를 분석하고 무당과 제갓집 식구들을 직접 인터뷰하여 채록한 생생한 종교경험들을 사례별로 모아 다루었다. 저자 차옥숭 차옥숭은 신학을 전공하였다. 1986년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에서 종교학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서강대학교, 한신대학교, 가톨릭대학교 등에서 강사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전주 한일장신대학교에서 인문사회과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다. 목차 무교 1. 내림굿 2. 재수굿 3. 마을굿 4. 우환굿 5. 넋굿 천도교/대종교 지은이의 말 I. 천도교 1. 들어가는 말..
장석만, , 돌베개, 2006, 292쪽(공저) 책소개 이 책은 1990년 초부터 시작된 한국 근대성 연구를 중간 점검하고 한국 근대성 연구가 우리 학문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연구자들은 어떤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기획물이다. 따라서 이미 학계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근대와 근대 담론 자체에 대한 성찰보다 한국 근대성을 연구하는 국내 연구자들의 현장감 있는 목소리를 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자전적 에세이 형식을 취하고 있는 이 책은, 일상적으로 침투해 있는 근대성, ‘지금, 우리’를 구성하고 있는 모더니티의 형성 과정을 연구해온 분야별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 그들이 연구과정에서 느꼈던 문제의식이나 현실인식을 일인칭 시점에서 정리하고 집합하면서 한국 근대성 연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