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구, , 푸른역사, 2008, 464쪽(공저) 책소개 이 책은 근대 이후 전 지구적으로 퍼져 있는 미국과 거기에서 예외가 될 수 없었던 우리 사회의 ‘미국화’ 양상을 정치, 언론, 종교, 학문, 대중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 총체적으로 살펴 보고 있는 연구서이다. 근대 이후 우리의 삶에서 미국은 빠질 수 없는 화두였다. 무엇을, 어떻게 이야기하든 한국 사회를 논하는 담론에서 미국은 제외시킬 수 없는 핵심 변수였고 지금도 여전하다. 일제 시기에는 근대성의 담지자로, 해방 직후에는 해방군으로, 분단 직후에는 혈맹으로, 지금은 정치, 경제, 문화 등 모든 영역에서 빼놓을 수 없는 동반자로 자리 잡은 미국. 이 책에서는 미국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압도적 영향력에 비해 미국화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가 매..
이진구, , 동연, 2008, 228쪽(공저) 책소개 한국기독자교수협의회·한국교수불자연합회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국의 대표적인 두 종교 단체인 기독교와 불자의 교수들은 소통을 해야만 종교 간의 반목과 대립을 넘어설 수 있다는 신념으로 2006년 처음 공동학술대회의 포문을 열었다. 올해는 3회째로, “현대사회에서 종교권력, 무엇이 문제인가”라는 주제로 현실 종교가 처한 상황을 연구하였다. 제1부 “역사를 통해 본 종교권력”은 종교권력의 문제를 역사적으로 다룸으로써, 오늘 이 시대의 문제점의 위치를 찾고자 했으며, 제2부 “한국사회와 종교권력”은 오늘의 각 종교의 폐해적인 요인들의 원인과 현상들을 비판적인 시각에서 점검하는 순서로 마련했다. 제3부 “종교권력과 사회개혁”은 지난 2003년도 한국기독자교수협의..
이진구, , 백산서당, 2006, 317쪽(공저) 책소개 우리 사회에서 종교인이 전체 국민의 절반을 넘고 있으며 대형교회와 대형성당, 대형사찰 등을 볼 때 한국 사회에서의 종교의 위상은 대단히 크다.『종교와 시민단체』은 종교단체의 복지역할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담은 책으로 한 도시를 선택하여 종교 종파들의 사회복지 실천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종교기관을 종교단체 즉 교회, 성당 절, 교회, 신종교 기관이고 다른 하나는 종교적 기반을 지닌 전문사회복지기관이다.전문사회복지기관은 사례 연구 방법을 조사하였으며 종교기관들은 면접설문조사를 하여 한국갤럽에 조사를 의뢰하여 객관성을 확보한 계량적 실증적 방법들로 담아져 있다. 저자 이진구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졸업, 동 대학원 석사학위(1988)와 박사학위(19..
이진구, 윌리엄 E. 페이든, , 청년사, 2004(역) 저자 소개 윌리엄 페이든 1967년 클레어몬트Claremont 대학교에서 비교종교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미국 버몬트 대학교 종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최근 새로운 비교주의(new comparativism)를 주창하면서 종교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비교 범주들에 대해 많은 글을 발표하고 있다. 저서로는 [Interpreting the Sacred: Ways of Viewing Religion](Beacon Press, 1992)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Sacrality as Integrity: 'Sacred Order' as a Model for Describing Religious Worlds' 등이 있다. 옮긴이 이진구 서울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