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범, , 민속원, 2007, 335쪽(공저) 책소개 남해안의 대표적인 항구도시 여수의 해양문화적 전통을 주목해보면 영당과 영당풍어굿,악공청은 여수의 역사적·문화적 정체성을 표상하는 전통 중의 하나라는 점을 알게 될 것이다. 이 책에서는 영당,풍어굿,악공청에 대한 여러 자료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두었다. 각종 문헌 자료와 지형도, 토지대장, 제적등본, 신문자료 등을 두루 정리하여 분석하고 역사적인 성격과 의미를 살펴 보았다. 또한 각 자료의 성격에 맞는 활용방안과 보존대책을 제시했다. 저자 이용범 서울대 종교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주 전공 분야는 민간신앙 및 한국종교사이다. 목차 영당풍어굿 사진 자료 서문 제1부 여수 영당과 영당풍어 굿 1. 여수 영당의 역사적 의미 2. 역사적 인물의 신격화와 이순..
이용범, , 민속원, 2007, 431쪽(공저) 책소개 우리나라의 수도이자 전국에서 굿이 가장 많이 행해지는 서울지역의 무속을 주제로 한 여러명의 기획발표들을 하나의 단행본으로 엮었다. 우리나라 전통무를 세분화하여 서울 지역의 전통무를 보다 자세하게 다루어 서울굿의 다양한 측면과 양상이 나타나있다. 서울굿의 전체적인 면을 아우른 글, '아기씨당신화'·'부정청배거리' 같은 하나에 집중한 글 등 여러 사람의 시각으로 다루어진 연구의 다양성이 돋보인다. 저자 이용범 서울대 종교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주 전공 분야는 민간신앙 및 한국종교사이다. 목차 발간사 Ⅰ. 총론 총론 Ⅱ. 서울굿의 양상 서울굿의 다양성과 구조 서울무속에 나타난 신의 유형과 성격 서울 마을굿의 유형과 계통 서울굿의 현재적 양상 Ⅲ. 서울굿..
이용범, , 민속원, 2006, 261쪽(공저) 책소개 이 책에는 인류학, 민속학, 종교학, 국문학, 역사학 등 총 5개의 영역의 연구자들이 한국 무속과 강신무, 세습무라는 공동주제로 다양하게 접근한 연구를 싣고 있다. 강신무,세습무의 개념을 다양한 각도에서 검토함으로써 한국무속 전반에 대한 기존의 시각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동시에 폭넓은 시각에서 한국무속을 고찰하고 있다. 저자 이용범 서울대 종교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주 전공 분야는 민간신앙 및 한국종교사이다. 목차 발간사 Ⅰ. 강신무와 세습무의 유형구분 검토에 대해 강신무와 세습무의 유형구분 검토에 대해 Ⅱ. 강신무와 세습무 개념의 이론적 고찰 강신무·세습무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용범 강신무·세습무 유형론에 따른 무속연구 검토∥양종승 지혜의 ..
이용범, , 수원문화원 수원시, 2006, 511쪽(공저) 저자 이용범 서울대 종교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주 전공 분야는 민간신앙 및 한국종교사이다. 목차 목차 사진으로 보는 수원의 마을굿 일러두기 조사개요 제1장 고색동 큰말 당제와 도당굿 제2장 구운동 상구운 산신제와 우물 고사 제3장 구운동 하구운 우물 고사 제4장 금곡동 조산 우물 고사 제5장 당수동 우물 고사 제6장 상광교동 중간 마을 느티나무 고사 제7장 서둔동 서낭제와 산제 제8장 세류3동 당제사 제9장 송죽동 서낭당 제10장 연무동 산신당 터 제11장 연무동 할아비 퉁소 바위 제12장 영동 거북산당 도당굿 제13장 영통 단오제 제14장 영화동 산신제 제15장 오목천동 곳집말 정지 고사 제16장 오목천동 온정 우물 고사 제17장 율전동 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