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범, ,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316쪽(공저) 책소개 무구는 무당이 굿을 할 때나 점을 칠 때 사용하는 여러 가지 도구를 일컫는 말로써 무속의례의 각 과정을 진행하고 이해하는데 필요할 뿐만 아니라 신령과 무당, 굿에 참여한 이들을 연결하는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맡는다. 다양한 기능과 종류, 의미를 가진 무구는 각 지역 무속의 특색을 담고 있어 전통적인 무속의 본질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서는 각 시ㆍ도별로 무업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대표적인 무당을 선정하여 그들이 지닌 무구에 대해 조사하여, 이를 사진과 그림으로 기록하고 각각의 종류와 의미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한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 무구》 시리즈 중에서 '서울시/경기도/강원도' 지역 편이다. 저자 이용범 서울대 종교학..
이용범, , 국립민속박물관, 2005, 392쪽(공저) 저자 이용범 서울대 종교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주 전공 분야는 민간신앙 및 한국종교사이다. 목차 목차 발간사 총론 : 시베리아의 유목민, 뚜바인을 찾아서 / 김시덕 뚜바와 조사지역 개관 / 강정원 ; 조승연 뚜바의 역사와 대외관계 / 박원길 의식주 생활 / 최은수 ; 김시덕 ; 강정원 유목생활과 생업활동 / 조승연 ; 이건욱 일생의례 / 김시덕 샤머니즘과 민간신앙 / 이용범 구비전승 / 김종대 세시와 놀이 / 이건욱 국문초록 Abstract
이용범, , 도서출판 월인, 2003, 620쪽(공저) 책소개 고전문학 연구가 당면하고 있는 쟁점적 과제와 전망의 지평을 보다 넓고 온전하게 점검하기 위해, 이들을 한 자리에 모아 통합적 시각에서 견주어 본 책. 고전문학의 여러 영역에 걸쳐 쟁점적 과제를 도출하고 해결의 전망을 제시했다. 저자 이용범 서울대 종교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주 전공 분야는 민간신앙 및 한국종교사이다. 목차 고전소설 편 고전소설 연구와 원전비평의 문제 조선시대 외국어 교육과 서사문학 한, 중 고전소설의 친소관계와 연구방향 한문소설 연구의 시대적 추이와 과제별 전망 17세기 전기 소설사의 한 국면 17세기 실기류와 소설의 거리 고전소설의 환상성과 환몽소설 고전여성소설에 대하여 조선후기 전과 소설을 통해서 본 사실과 허구, 그리고..
이용범, , 분도출판사, 2005, 232쪽(공저) 책 소개 이 책은 종교간 대화를 위해 계획되었다. 구체적으로는 각 종교에 대한 강의가 열렸고, 그 강의록이 모여 책이 만들어진 것이다. 종교들에 대한 정확하고 포괄적인 지식들을 얻기 위해, 요즘 우리나라에서 기운 넘치게 활동하고 있는 각 종교의 전문가들에게 강의와 글을 부탁했음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종교의 세계로 들어가는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을 확신한다 저자 이용범 목차 머리말 정양모 : 종교 종교간의 대화 종교 다원주의 배철현 : 유다교 박태식 : 그리스도교의 어제와 오늘 김영경 : 이슬람 오지섭 : 힌두교 이찬수 : 불교 윤사순 : 퇴계 '천' 개념의 다의성에 대한 검토 송항룡 : 한국 도교 사상의 특질 이용범 : 한국의 무속 차옥숭 : 천도교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