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강돈구, 이용범, 이진구, 윤용복,<근대성의 형성과 종교지형의 변동 Ⅰ>, 한국학중앙연구원

종교문화연구소, 2005, 356쪽(공저)

책소개

「한국종교학 총서」 제1권. 이 책에서는 근대성의 형성과 종교지형의 변동을 연구하였다. 서구 근대성과 한국의 종교 사이에서 벌어진 상호작용을 구조적인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아울러 근ㆍ현대 한국인들의 종교적 삶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구체적인 역사적 사실을 통해 밝히고 있다.

저자

강돈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한국 종교학회 회장. 지은책으로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2002),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2006, 공저) 등이 있다.

이용범

서울대 종교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주 전공 분야는 민간신앙 및 한국종교사이다.

이진구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졸업, 동 대학원 석사학위(1988)와 박사학위(1996)를 취득하였다. 뉴욕 주립대학교(스토니 부룩) 객원연구원으로 있었으며, 한국종교문화연구소와 한국 기독교 역사 연구소의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4년 현재 호남신학대학교 강의전담 초빙교수로 있다.

박미라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주 전공 분야는 유교의례이다.

목차

제1장 한국사회의 근대성 형성
1. 근대 국가의 모색과 국가의례의 변화/이욱
2. 한국 근대 초기 음양 이중력의 형성과 의미/임현수
3. 구한말 미 개신교 선교사들의 對韓 인식/이상훈
제2장 근대적 종교공동체의 탄생
1. 천도교 개신기 '종교'로서의 자기 인식/고건호
2. 이병헌의 孔敎운동에 나타난 神道論 연구/박미라
제3장 정교분리 담론과 민족의 개념
1. 일제의 종교/교육 정책과 종교자유의 문제/이진구
2. 근대 신종교와 민족주의 1/강돈구
제4장 한국 종교의 정체성 인식
1. 근대 한국불교의 종교정체성 인식/송현주
2. 기독교와 민속, 그리고 근대/주영하
제5장 새로운 종교문화의 형성
1. 무속에 대한 근대 한국사회의 부정적 시각/이용범
2. 한말시기 도교적인 '종교' 정체성과 삼교통합주의/김일권
3. 근대 한국종교문화의 형성과 시간의 재구획/조현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