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용범, <동북아 곰 신화와 중화주의 신화론 비판>, 동북아역사재단, 2009, 249쪽(공저)

책소개

한국과 주변 지역의 곰 신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곰 신화로 대표되는 한민족의 기층문화가 기본적으로 북방문화와 관련이 있음을 밝히고, 단군신화와 기타 곰 관련 전승을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한 결과물을 이 책에 담았다. 또한 고구려와 발해, 그리고 단군신화마저 중국 황제족의 신화에서 비롯하였다는 중국 중화주의 신화론을 비판하고 한국 및 동북아 상고사에 대한 바른 이해를 모색하는 연구도 실려 있다. 요하문명론과 곰 토템과 관련한 중국 학계의 갖가지 주장들을 분석하고 비판하는 연구 시도를 통해 중국 학계의 연구 목표와 내용, 그리고 지향점 등을 살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와 같은 내용들이 안고 있는 논리적 모순점과 요하 유역의 신석기·청동기 시대 문화의 실상, 그리고 한국 상고사와의 상관성 등의 문제를 보다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저자

이용범

서울대 종교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주 전공 분야는 민간신앙 및 한국종교사이다.

목차

책머리에

곰 신화와 제의의 기원과 변화 /김일겸
Ⅰ. 머리말
Ⅱ. 곰 신화와 제의의 공통성과 동일 역사적 기원
Ⅲ. 중기 구석기 알프스 곰 유적의 문제
Ⅳ. 페노스칸디아 민족 기원의 부정
Ⅴ. 아메리카 원주민 기원의 부정과 시베리아 아시아 민족 기원의 긍정
Ⅵ. 곰 신화와 제의의 변화
Ⅶ. 맺음말
한국 곰 신화의 유형과 특징 /이용범
Ⅰ. 머리말
Ⅱ. 한국 곰 신화의 유형
Ⅲ. 한국 곰 신화의 특징
Ⅳ. 맺음말
몽골 신화를 통해 본 곰의 형상 /이평래
Ⅰ. 머리말
Ⅱ. 사람의 화신으로서 곰의 형상
Ⅲ. 신통력의 보유자로서 곰의 형상
Ⅳ. 하늘에 뿌리를 둔 존재로서 곰의 형상
Ⅴ. 맺음말
시베리아의 곰 신화의 곰 의례 /강정원
Ⅰ. 머리말
Ⅱ. 기존 연구의 비판적 검토
Ⅲ. 곰 의례
Ⅳ. 곰 신화
Ⅴ. 시베리아 곰 의례와 곰 신화에 대한 인류학적 이해
Ⅵ. 맺음말
홍산문화의 황제 영역설에 대한 비판 - 곰 신화를 중심으로 /김선자
Ⅰ. 머리말
Ⅱ. ‘옥웅륭’ 명칭에 대한 재고찰
Ⅲ. 황제 유웅씨 곰 토템설 비판
Ⅳ. 여신 사당의 성격 문제
Ⅴ. 맺음말 - 대안을 제시하며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