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홍, , 서당, 1991, 394쪽 책소개 종교의 자기주장 원리와 논리, 인간문화에 대한 비판적 담론 등을 총체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종교문화의 서술을 위한 몇가지 전제들, 믿음의 현상과 구조, 종교의문화적 표상, 종교의 양태론적 이해, 종교의 역사적 전개,종교와 인성, 종교와 사회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저자 정진홍 1960년에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종교학과를 졸업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이화여자대학교 이화학술원 석좌교수로 있다. 종교현상학이 전공분야이고, 『종교문화의 이해』,『종교문화의 인식과 해석』,『종교문화의 논리』,『경험과 기억』,『열림과 닫힘』등의 저서가 있다. 목차 목차 책머리에 머리말 제1장 종교문화의 서술을 위한 몇가지 전제들 제2장 믿음의 현상과 ..
정진홍, , 집문당, 1986, 438쪽 책소개 제1장에서는 한국 종교사를 서술하기 위한 방법론적 시도르 꾀하였으며, 제2장에서는 한국 전통문화와 종교에 관하여, 제3장은 한국 현대문화와 종교에 대하여, 제4장은 문화와 종교, 제5장은 미래문화와 종교에 관하여 논하였다. 저자 정진홍 1960년에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종교학과를 졸업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이화여자대학교 이화학술원 석좌교수로 있다. 종교현상학이 전공분야이고, 『종교문화의 이해』,『종교문화의 인식과 해석』,『종교문화의 논리』,『경험과 기억』,『열림과 닫힘』등의 저서가 있다. 목차 1. 한국 종교문화의 전개 2. 한국현대문화와 종교 3. 문화와 종교 4. 미래문화와 종교
정진홍, , 전망사, 1980 저자 정진홍 1960년에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종교학과를 졸업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이화여자대학교 이화학술원 석좌교수로 있다. 종교현상학이 전공분야이고, 『종교문화의 이해』,『종교문화의 인식과 해석』,『종교문화의 논리』,『경험과 기억』,『열림과 닫힘』등의 저서가 있다. 목차 목차 머리말 Ⅰ. 序論 1. 比較宗敎學이란 무엇인가? 2. 宗敎硏究의 妥當性 Ⅱ. 宗敎定義의 問題 3. 宗敎의 定義 4. 傳統宗敎의 宗敎定義 5. 宗敎學에서의 宗敎定義 Ⅲ. 宗敎經驗 6. 空間에 대한 宗敎的 經驗內容 7. 時間에 대한 宗敎的 經驗內容 8. 自然에 대한 宗敎的 經驗內容 9. 人間에 대한 宗敎的 經驗內容 10. 非宗敎人의 特性 Ⅳ. 佛敎 11. 부처님은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