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홍, , 전망사, 1980, 414쪽 저자 정진홍 1960년에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종교학과를 졸업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이화여자대학교 이화학술원 석좌교수로 있다. 종교현상학이 전공분야이고, 『종교문화의 이해』,『종교문화의 인식과 해석』,『종교문화의 논리』,『경험과 기억』,『열림과 닫힘』등의 저서가 있다. 목차 목차 머리말 1 宗敎學 序說 1. 宗敎現想의 基本構造 2. 聖과 俗 3. 宗敎의 本質 4. 宗敎學의 課題 2 神話·祭儀·象徵 1. 時間의 可逆性 2. 神話의 構造的 分析 3. 揆園史話의 神話 4. 宗敎祭儀의 象徵機能 3 宗敎와 文化 1. 原始人의 人間觀 2. 宗敎와 自然 3. 宗敎와 科學 4. 宗敎와 文學 5. 宗敎와 禁忌 6. 民俗宗敎의 理解 7. 宗敎와 ..
정진홍, 리차드 H.니버, , 이대출판부, 1983(역), 256쪽 responsible self : an essay in christian moral 책소개 '신학자의 신학자'로 불리는거친 미국 신학의거장 리처드 H. 니버(Richard H. Niebuhr, 1894-1962)는 이 책을 저술하면서 이 책을 1권으로 하고, 이어 2권에서는 "기독교적 행위의 원리"를, 마지막으로 3권에서는 "공동체의 삶에서의 기독교인의 책임"을 다루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애석하게도 그의 이른 작고로 말미암아 현재 우리 손에는 이 책만이 남아있습니다. 그러나 이 귀중한 책에서 우리는 여전히 니버의 귀중한 통찰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책의 관점: '보편적인 도덕적 주제'] 니버는 그의 전체적인저술에서윤리학에 근..
정진홍, 존 S. 음비티, , 현대사상사, 1979(역) African religions & philosophy 책소개 아프리카의 종교형태와 사상에 대한 입문서격의 저술. 아프리카의 민간신앙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중심으로 아프리카 종교의 특성을 기술하고 있다. 특히 아프리카 종교의 특성으로 '조상혼령 숭배'를 강조하고 있는 본 저서는 아프리카의 종교를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읽어야 하는 필독서이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아프리카의 종교와 철학은 아프리카가 식민지가 되기 이전, 그러니까 기독교나 이슬람교가 별로 깊이 뿌리 박지 않은 사회에서의 전통적인 사상이나 관습만을 취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 책을 서술해나가면서 나는 마치 그 철학적인 이념이나 종교적인 관습이 지금도 수행되고 있는 양 현재형으로 표현하였..
정진홍, 엘리아데, , 현대사상사, 1976, 352쪽 저자 M.엘리아데 1907년 3월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부터 종교 철학과 종교사 등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부쿠레슈티대학에서 철학을 배웠다. 이후 이탈리아를 방문했을 때 투치 도서관에서 인도철학자 다스굽타의 『인도 철학사』에 큰 감명을 받게 된 엘리아데는 1928년부터 그 문하에서 3년간 인도철학을 연구하여, 『요가: 불멸성과 자유』 등을 펴냈다. 1933년부터 1940년까지 부쿠레슈티대학에서 철학을 가르치고, 영국과 포르투갈에서 루마니아 대사관 문화 공보관으로 근무했으며, 1945년부터는 파리 소르본대학의 종교학 객원교수를 비롯하여 유럽의 여러 대학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1956년에는 미국 시카고대학 교수로 초빙되어 은퇴 후에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