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헌재 선고를 기다리며 미얀마 사람들로부터 배우기 news letter No.876 2025/4/1 올해 상반기 연구소 심포지엄 발표 주제를 ‘국경을 넘은 불교. 미얀마인들의 노동과 민주화 운동’으로 정한 후 인천 부평을 방문하기 시작했다. 부평역에 도착하면 미얀마 핸드폰 가게들이 여럿 보인다. 5번 출구 방면 미얀마 음식점들과 로컬 슈퍼가 있는 곳을 ‘미얀마 거리’라고 부른다. 아직 현지조사의 초기 단계이지만 인상적인 만남들이 있었다. 핸드폰 가게를 운영하는 미얀마 난민이자 민주화운동 활동가가 전하는 긴 이야기를 들었고, 미얀마불교전법사원의 승려와 노동자들과 면담을 진행하고 있다. 평범한 오피스텔 건물 6층에 자리 잡은 사원에 도착했을 때 눈에 들어오는 모습이 있다. 사원으로 들어가는 현..
불교와 폭력: 불교는 배반했는가? news letter No.493 2017/10/24 [I] 이 시대의 특징이 폭력과 살상뿐이라고 단순화해도 부정할 길이 없게 됐다. 지나친 폭력과 살상이 우리 주변에서 난무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개인이 자행하는 살상은 물론 국가 간의 대량살상을 전제로 한 발언들도 마구 쏟아져 나온다. 일촉즉발 공포분위기의 발언은 이미 정치적 수사(修辭)의 정도를 넘어섰다. “두고 보면 알 것이다” 혹은 “폭풍전야로 생각하라” 등의 발언은 이미 정치지도자의 언행일 수 없다. 내가 이번 여름에 여행했던 지역의 인근인 라스베가스에서는 60명 가까운 사람들이 무차별 총격의 희생물이 됐다. 그 흔한 살상의 명분이나 자신의 정당성을 내세우는 매니페스토도 한 장 없다. 일찍이 이런 사태를 경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