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 산사(山寺)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에 대한 단상
news letter No.598 2019/10/29

지난 2018년 6월 30일, 바레인에서 개최된 제42차 세계유산위원회는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Sansas,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을 세계유산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하였으며, 이로서 ‘산사’는 한국의 13번째 ‘세계유산(world heritage)’이 되었다. 여기서 ‘세계유산’은 1972년 유네스코의 ‘세계 문화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에 의거하여 세계유산목록에 등재된 유산을 지칭한다. 2018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산사’는 통도사, 부석사, 봉정사, 법주사, 마곡사, 선암사, 대흥사이며, 순천 선암사(태고종)를 제외하고는 모두 조계종 사찰이다. 이로써 이 7 사찰은 자신들의 홈페이지에 – 다른 사찰과 차별되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확인시켜주는 로고를 사찰명 위에 올려놓을 수 있는 ‘영광’을 누리게 되었다. 한국 측에서 어떠한 기준/근거로 평지가람이 아닌 산지가람을, 그리고 무엇보다 한국의 많은 산사 중 앞에서 언급한 7 사찰을 “한국 전통사찰의 고유한 특성을 대표”하는 곳으로 선정하여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였는지 그 사정을 자세히 알 수는 없으나, 추진위원회 측에서는 이들 사찰이 7~9세기 창건 후 신앙, 수도, 생활의 기능을 유지한 종합 승원으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 outstanding universal value)’를 인정받았다고 발표하였다. 사실 전통 산사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는 장기간 준비된 사업으로 전 정권에서 대통령(이명박) 직속기관이었던 국가브랜드위원회(2009~2013)가 내부에 ‘전통사찰 세계유산 추진 전문가협의회’를 구성하면서 본격화되었다. 주지하다시피 국가브랜드위원회는 국가적 차원에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전략을 통해 대내외적 국가 위상과 품격을 높이고 국가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출범한 기관이다. 이후 정권이 바뀌면서 국가브랜드위원회가 해체되고, 2014년 8월 조계종 총무원 문화부 산하에 ‘산사세계유산등재추진위원회’(이하 등재추진위원회)가 발족하면서 조계종단은 등재추진 사업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뉴스 레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600호-“어찌할 수 없는[不得已]” 인생의 편안함 (0) | 2019.11.12 |
---|---|
599호-인간, 괴물, 몬스터 (0) | 2019.11.05 |
597호-캉유웨이[康有爲]의 기이한 부활 (0) | 2019.10.22 |
596호-학제간 과목 (0) | 2019.10.15 |
595호-신이 선물한 최고의 악기는 악기 (0) | 2019.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