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빈곤의 시대, 착취와 기생의 자화상
news letter No.611 2020/1/28
"미안해요, 우리가 당신을 놓쳤군요"
《미안해요, 리키》(Sorry, We Missed you, 2019)는 우리에게 《나, 다니엘 블레이크》로 알려진 켄 로치(Ken Loach) 감독의 최신작이다. 이 영화는 영화 《기생충》과 함께 칸영화제의 황금종려상의 후보작이었으며, 이 밖에도 최우수감독상과 남우주연상등 다양한 분야에 노미네이트 된 작품이다. 《미안해요, 리키》는 노동과 삶 그리고 인간의 문제에 깊은 관심을 보이는 켄 로치의 작품 스타일을 그대로 보여주면서, 최근 우리 사회에서도 이슈가 되고 있는 '긱 이코노미(gig economy)'의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긱 이코노미란 비정규직 프리랜서 노동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업은 노동자를 직접 고용하는 대신, 각각의 노동자를 개별사업자로 모집하여 노동에 투입하는 계약직 임시노동을 시행한다. ‘긱’(gig)은 재즈 연주자들이 모여 즉흥적인 연주를 하는 퍼포먼스에서 유래된 말인데, 그때그때 필요에 따라 단기적으로 고용하고 해고하는 고용형태를 빗대어 쓰는 말이기도 하다. 긱 이코노미 노동의 대표적인 형태가 배달 혹은 택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영화의 주인공 리키 역시 여러 노동을 전전하다 풍운의 꿈을 안고 프리랜서 택배업에 뛰어들게 된다. 하지만 이런 노동 형태는 노동자의 복지와 노동조건에 상관없이 최대한의 이윤을 산출하기 위한 자본의 탐욕에 기반하고 있다. 따라서 노동자들은 이윤의 생성과 극대화라는 기계적 구조에 편입될 뿐, 인간으로서 삶을 구현하기 위한 노동에는 참여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긱 이코노미 노동은 인간적인 권리와 배려가 상실된 노동, 이윤의 극대화를 위한 부품화된 노동을 의미한다. 비록 노동자들이 ‘열심히’만 하면 풍족할 수 있다고 꿈꾸지만, 이 비정규직 계약 노동은 애초부터 노동에 대한 정당한 교환은 고려하지 않는다.
리키는 택배업을 위해 밴을 구입해야 했고, 비싼 가격의 밴으로 인해 과중한 빚을 지게 된다. 또한 쌓여가는 물품에 따라 기획되는 노동인 택배업은 노동자 개인의 일신상 이유를 용납하지 않는다. 하루 할당된 배당량은 반드시 그날 처리되어야 하는 '지표'이다. 따라서 그가 일신상의 이유로 하루 일감을 처리하지 못하면, 자신의 택배 물품을 처리하기 위해 대체 노동자를 고용해야 하고 그 비용도 부담해야 하며, 벌금도 내야 한다. 그래서 오로지 자신이 내세울 수 있는 기술이란 '열심히' 밖에 없는 리치는 가정에서 벌어지는 모든 문제를 뒤로하고 택배 업무에만 매진한다. 잠깐의 배뇨와 약간의 여유로운 식사 시간마저 반납하면서 말이다. 하지만 일상이란 그리고 삶이란 다채로운 변수를 존재조건으로 하고 있다. 그런 변수는 일주일에 5일, 하루 16시간의 장시간 노동으로 쌓이는 피로만큼이나 삶의 균열을 가속화 한다.
노동이란 삶을 유지하고, 그 속에서 인간다움의 권리를 누리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이다. 하지만 자본의 이윤 원리로만 인식된 노동은 인간다움의 권리를 인정하지 않으며, 개인의 무너지는 삶에는 관심이 없다. 주 80시간의 노동으로 '열심히' 살지만 꿈꿨던 풍요에서는 멀어지고 한 층 더 빈곤의 나락으로 떨어지는 노동현실, '열심히'라는 마술 같은 주문의 힘은 한낱 동화책에서 떠도는 메아리에 불과하다.
선의, 기생 그리고 고정된 현실
미국 억만장자인 로버트 스미스는 모어하우스 대학 졸업식에 연사로 참석해서 졸업생들의 학자금 대출금을 모두 갚아주겠다고 약속한다. 그 액수는 무려 480억 원이다. 또한 디즈니랜드의 상속녀 애비게일 디즈니는 노동자들의 소득 불평등을 지적하면서 부자증세를 청원하고, 성인이 된 후 지금까지 자신의 재산 가운데 813억원을 사회에 환원하였다. 여기에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조스의 전처인 맥킨지는 이혼하면서 받은 위자료 44조원 가운데 절반을 기부하겠다고 선언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내게 필요 이상의 과분한 돈이 있고, 이를 다른 사람들과 나누고 싶다".
물론 이들은 훌륭하다. 하지만 노동의 불공정한 거래 그리고 고용 없는 경제시스템 속에서 상시적으로 나타나는 실업과 빈곤의 일반화는 가진 자들에게 종속된 삶을 만들어 낸다. 철저하게 가진 자들의 선의에 기대어 살아가는 기생적 삶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구조적 부조리에 기반한, '정치적 올바름'이 없는 선의란 얼마나 순진한가? 그러한 선의는 빈곤한 자들을 가진 자에게 종속시켜 부의 위계를 한층 더 강화하고 가난을 확대한다.(대한민국에서는 그런 선의마저 가진 재벌을 찾기란 어려운 일이다)
여기서 우리는 빈곤의 문제를 들여다 본, 또 다른 영화에 주목해야 한다. 공교롭게도 2019년 칸영화제에 같이 출품되어 황금종려상의 영광까지 안은 《기생충》이 그것이다. 이 글에서 영화에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두 가지 이유 때문인데, 그것이 바로 기생의 의미와 고정된 현실이다.
영화는 빈곤이 일상화된 기택(송강호)의 집에 기우(최우식)의 친구 민혁이 방문하면서 시작된다. 민혁은 '좋은' 대학에 다니는 대학생이고 영어 과외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 그런데 민혁은 이 아르바이트를 개인적 사정으로 그만두어야 한다. 그래서 이를 기우에게 넘기려고 한다. 기우는 4수생으로 대학생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간의 위조'를 통해 과외선생으로 일하게 된다. 기우가 일하게 되는 집은 벤처기업으로 젊은 나이에 성공한 동익(이선균)의 집이다. 이 집에서 집안의 모든 일을 결정하고 꾸려나는 것은 아내, 연교(조여정)의 몫이다.
여기서 특이한 것은 연교의 캐릭터이다. 그녀는 한없이 순수하고 착하다. 그래서 잘 속고, 잘 믿는다. 착하다는 것, 순수하고 잘 믿는다는 것은 빈곤이 일상화되어 '계획이 없이' 살아가는 기택의 식구들에게는 절호의 찬스이다. 그들의 '착함'과 '선의'는 기택의 식구들에게 충분한 자양분이 될 것이다. 그래서 기택의 가족은 재빠르게 '촉수'를 뻗쳐, 연교의 가족에 ‘찰싹’ 달라붙는다. 착함과 선의로 가득한 연교의 집은 기택의 식구들에게 숙주 삼아 기생하기에 딱 좋은 조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부의 위계란 하늘과 땅의 차이이고 애초부터 변경될 수 없는 것이다. 숙주로서 가진자들에게 선의는 있지만 구원은 없다. 어느 날, 주인집이 가족 여행으로 비게 된다. 그래서 이들은 넓고 쾌적한 집에서 자신들의 빈곤한 현실을 잊고 부유함의 환상을 누리게 된다. 하지만 폭우가 퍼붓고 예정에 없이 주인집 식구들이 귀가하게 된다. 폭우가 세상을 삼킬 것처럼 쏟아지고, 큰비는 대홍수의 그날처럼 세상을 쓸어버릴 것 같다. 그러나 대홍수의 파괴는 하늘에 있는 '부'에는 미치지 못하고, 땅에 떨어진 빈곤에만 영향을 미친다. 쫓기듯 나와 끝도 없이 내려가는 저 빈곤한 땅은 부의 위계를 명확히 보여주며, 어쩌면 세상의 구원이 부에만 있을지도 모른다고 암시하는 것 같다.
노동의 불공정한 교환과 고용 없는 경제시스템은 노동자들의 착취를 기반으로 부를 축적하는 구조이다. 결국 신자유주의적 경제 시스템 속에서 가진 자와 못가진 자들 간의 기생관계는 고정되고 빈곤한 대중들은 생존을 위해 가진 자들에게 더욱 종속될 수밖에 없다. 이는 불공정한 교환으로 노동이 거세된 신자유주의 시대의 필연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영화가 다 끝나도록 바뀌지 않는 빈곤한 대중의 처지는 기우의 공상 속에서만 변화될 뿐이다.
도태수_
한국학중앙연구원
논문으로 <근대적 문자성과 개신교 담론의 형성>, <근대 소리 매체(라디오, 유성기)가 생산한 종교적 풍경>이 있다.
'뉴스 레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613호-‘한국의 민족종교’ 다시 읽기 (0) | 2020.02.11 |
---|---|
612호-전염병을 피하여 거처를 옮기다 (0) | 2020.02.04 |
610호-머리카락를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0) | 2020.01.21 |
609호-또 새해입니다 (0) | 2020.01.14 |
607호-우리의 기구(조직)도 인격체인가? (0) | 2019.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