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뉴스 레터

723호-일상화된 코로나의 아픔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22. 3. 29. 15:48

일상화된 코로나의 아픔


news letter No.723 2022/3/29




1. 코로나 천만 시대에 좋아진(?) 것이 있다.(코로나의 위험을 경계하는 것이 여전히 필요한 태도이겠으나, 사회적 태도 변화를 말하는 것이니 너그러이 보아주셨으면 한다.) 이젠 코로나가 일상적인 질병으로, 덜 심각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서로에 대한 경계심이 누그러지고 있다. 2년 전에 우리가 이것을 얼마나 심각하게 여겼는지를 떠올린다면 이제는 심리적으로 이를 극복하고 위드코로나에 접어들고 있음이 실감난다. 물론 인식의 변화에는 의학적 환경이 기본 바탕이 된다. 모두 알고 있듯이, 한편으로는 코로나19라는 같은 이름을 쓰고 있지만 코로나는 여러 변이를 거쳐 실질적으로 다른 질병이 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수차례의 백신 접종을 통해 견뎌낼 몸이 사회적으로 준비되었기에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그래도 이와 더불어 일어난 마음의 변화를, 조금 이른 감은 있지만 되돌아보고 싶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제 더는 죄를 묻지 않게 되었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병에 걸린 이들이 공동체에 위기를 불러온, 원망의 대상이 되었고, 더 나아가 대놓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무언가 잘못을 저질러서 병에 걸렸다는 부적절한 인과(因果)도 흔하게 설정되었다. 종교의 못된 습성이 어떠한 비극적인 상황을 윤리적 잘못과 연결한다는 것이다. 코로나 상황에서도 이런 종교적 사유는 곧잘 작동했다. 코로나 상황에서 비난받았던 많은 사례에는, 당사자가 방역에 부주의했던 측면에 더해 과도한 비난이 가해질 때가 있었다. 발병 자체에 윤리적 잘못이 있는 것 같은 뉘앙스가 덧붙여지기도 했다. 그러나 이제는 코로나에 무거운 뉘앙스가 부과되지 않는다. 다들 한 번쯤 겪는 일이 되었다. 더 아픈 사람이 있고 별 증상 없이 지나가는 사람도 있겠지만, 보통은 생기면 불편한 일 정도로 가벼워졌다.


2. 2021년 가을 한국종교학회 기조강연에서 오강남 선생님은 코로나19 이후의 종교적 변화로 한국 개신교에 강하게 존재했던 기복 신앙이 감소하고 인과응보 사상이 약화하리라 전망하였다. 코로나는 선한 사람과 악한 사람을 가리지 않고 걸리는 병이기에, 착한 사람이 상을 받고 악한 사람이 죄값을 받는다는 율법주의적 상벌 사상은 흔들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선생님은 더 나아가 인과응보 논리의 연장선상에 있는 천국과 지옥 교리의 설득력도 상실될 것이라고 예견하였다.

그러나 인과응보 교리가 금세 힘을 잃은 것은 아니다. 오강남 선생님은 미국의 지인에게 들은 이야기를 전한다. 그 어른은 자신이 아는 젊은 교인이 주일성수를 하지 않는 등 율법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다가 몹쓸 병(코로나)에 걸렸다고 개탄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코로나의 현실은 이런 식의 교리적 판단을 금세 무력하게 한다. 이런 생각이 마음속에 남아있을 수는 있어도 대놓고 할 수 있는 이야기는 아니게 될 것이다. 공공연한 담론으로는 힘을 잃고 교회 내에서 주류적 설명의 자리를 내줄 수밖에 없을 것이다.


3. 작년에 인기를 끌었던 넷플릭스 드라마 <지옥>을 생각해본다. 내가 이 드라마에서 눈여겨본 것은 특정한 비극적 상황(지옥행이 고지되고 시연되는 일)이 설명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전의 장르물에서는 사건에 대한 신학적 설명이 제시되고 그에 따른 해결이 줄거리를 이룬다. 그러나 <지옥>에는 그러한 설명이 배제되어 있고, 그것을 설명하려는 종교적 노력(새진리회)이 이루어지긴 하지만 그것의 붕괴를 보여준다. 장진수 새진리회 의장은 진지한 신학적 사 를 통해, 지옥행 시연은 인간의 죄에 대한 징벌이고 인간 사회를 정화하기 위한 신의 개입이라는 설명을 제안한다. 그러나 드라마가 진행되면서 비극이 죄의 대가라는 신학적 설명은 여지없이 어긋난다. 시연이라는 비극을 겪는 이들은 무슨 잘못을 저질러서 벌을 받는 것이 아님이 분명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설명의 붕괴는 새진리회라는 종교집단의 흔들림으로 연결된다.

<지옥>에서 분명한 것은 인간 앞에 비극적인 현실이 놓여있다는 것이다. 과거의 기대처럼 비극을 인과적 논리로 설명하는 것은 더한 비극을 낳을 뿐이며, 타인의 죄를 정죄하는 인간 사회가 다름 아닌 지옥이 될 터이다. 비극적 현실은 그저 존재하는 것이다. 그것은 코로나19와도 같다. 그냥 겪는 일이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그렇게 놓인 현실에서 어떻게 대처하느냐일 것이다. 죄를 묻는 사유의 극복, 그러한 인식의 전환을 그려낸 것이 이 드라마의 성취라고 나는 생각한다.


4. 이제는 폭력적인 신정론이 공공연히 언급되지는 않는다. 2004년에 인도네시아가 쓰나미로 인해 막대한 인명피해를 입었을 때 “기독교를 박해한 이슬람 지역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라는 설교가, 2011년 일본 대지진 때에 “하나님을 멀리해서 생긴 경고”라는 대형교회의 설교가 있었다. 2005년에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미국 뉴올리언스 시를 강타했을 때는 “카트리나는 동성애자에 대한 심판”이라는 설교가 대형교회에서 나왔다. 그러나 이제는 이러한 목소리가 한국 교계를 대표하지 않는 시대가 왔다고 생각한다. 일차적으로는 세월호 사건 이후에, 그리고 이번 코로나 상황을 겪으며 막무가내식 인과응보 논리는 표면적으로는 보이지 않게 되었다. 여러 측면에서 코로나 상황은 종교계에 어려움을 가져다주었다. 그리고 나는 오강남 선생님의 견해에 찬성하면서, 이 어려운 상황에서 종교계가 배우는 것이 있으리라 기대한다. 그래서 코로나 상황을 겪은 후에 비극적 상황에 죄를 묻는 일이 더 신중해질 것이라고 기대한다.

 

 

 







 


방원일_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최근 논문으로 <혼합현상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 개신교계의 종교 개념 수용 과정>, 저서로 <메리 더글러스> 등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