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현수 선생님 사진은 지난 번에 인문학스터디 2강 안내를 하면서 몇 개 올려드린 바 있습니다. "알라딘과 함께 하는 인문학 스터디 두 번째: 종교와 신화, 그 밀고 당기는 관계"http://crrc.tistory.com/2369 이번에는 새로운 사진을 올려 보겠습니다. 임현수 선생님은 현재 '중국 신화'를 주로 연구하고 계십니다. 지난 번 인문학스터디 2강의 주제도 신화였죠. 크게 봤을 때는 '중국 종교' 분야의 연구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논문들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공부 범위가 '한국 사회의 근대성', '스포츠와 놀이', '종교학 이론', '문학' 등 다방면에 걸쳐 있습니다. 임현수, 1989, 「시간에 대한 종교학적 연구의 재평가」, 서울大學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엘..
다음 연구원이야기를 누구로 할까에 대해서 고민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하나의 원칙을 정했습니다. 연구소 학술활동을 하시는 분들 순서로 이야기를 풀어갈까 합니다. 연구원분들께서는 본인의 이야기에 대해서 의견(불만, 편집방향 등)이 있으시면 '비밀댓글'을 이용해서 의견을 주세요. 적극 반영해 드리겠습니다. 지난 번 월례포럼 안내를 해 드리면서 구박사의 사진은 보여드린 바 있습니다. 이 사진이죠. 2011년 상반기 심포 때의 사진입니다. 지난번 포럼과 이번 강연 사진도 페북에 올린 바 있습니다. 국내 1호 인지종교학 박사입니다.서울대 종교학과에서 2017년에 "민속신앙의 인지적 기반에 관한 연구"로 학위를 받으셨습니다. 앞으로 인지종교학 분야를 선도하게 될 선생님이라고 생각됩니다. 석사학위논문은 "종교연구의 방..
안녕하세요. 블로그 관리자 겸 페북지기1 겸 트위터 관리자, 즉 연구소 인터넷 및 소셜 미디어 담당자입니다. 음지에서 일하고 양지를 지향하는 정신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연구소 블로그가 처한 악조건 몇 가지를 말씀드리면, 네이버 블락은 전에 페북으로 언급한 바 있습니다. 구글 검색 결과로도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연구소 뉴스레터를 검색해 보면, 블로그나 홈페이지의 결과물을 찾기가 어렵습니다. 이 난관을 어찌 극복해야 할지 암담합니다. 제가 2월 중순부터 관리를 시작했는데요. 구글 애널리틱스를 통해서 분석된 결과를 보여드리겠습니다. 분석 시작 시점이 2월 14일부터이고, 데이터는 15일부터 수집되었습니다. 아마 그 전 데이터가 있었다면 빨간 선 쯤이 되었을 겁니다. (방문자 수로 추정해 본다면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