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현주, 윤용복, 세르게이 토카레프, , 사상사, 1991, 432쪽(공역) 책소개 세계의 종교사를 종교의 발생순서와 발전과정을 중심으로 조명하였다. 저자 세르게이 토카레프 역자 송현주 순천향대학교 교양과정부 교수, 미국 UCLA 교환교수 역임. 주요 저서로는 (2006, 공저), (2003, 공저) 등이 있다. 윤용복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원, 서울대.인하대.감신대.동국대 강사이다. 주요 저서로는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2006, 공저), 『역사와 종교』(2004, 공저) 등이 있다. 목차 부족의례 1 종교적 신앙의 고고학적 증거 2 오스트레일리아인과 타스마니아인의 종교 3 오세아니아의 종교 4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5 아메리카의 종교 6 아프르카의 종교 7 북아시아의 종교 8 코카서..
송현주, 류성민, H.카워드, , 서광사, 1990, 236쪽(공역) 책소개 종교다원주의를 유태교, 기독교, 이슬람교, 힌두교, 불교 등 세계 주요 종교와 관련하여 세밀히 검토하고 있다. 지은이는 이론적인 차원에 머물거나 포괄적이지 못했던 기존 연구와 달리 세계 주요 종교의 다원주의에 대한 태도의 정확한 이해를 토대로 보다 포괄적이고 실천 가능한 해결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저자 H.카워드 역자 송현주 순천향대학교 교양과정부 교수, 미국 UCLA 교환교수 역임. 주요 저서로는 (2006, 공저), (2003, 공저) 등이 있다. 목차 옮긴이의 말 지은이의 말 제1장 종교 다원주의와 유태교 1. 종교 다원주의에 대한 성서의 반응 2. 고전 유태교와 중세 유태교의 반응 3. 현대 유태교의 반응 4. 결론 제..
박규태, , 동북아 역사재단, 2011, 271쪽(공저) 책소개 책의 저자들이 일본 '국학'에 대해 주목하는 것은 그것이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으며, 근대 일본인들에게 "만세일계의 천황에게 충군하여 애국한다"는 국가관을 의식화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현대 일본인의 내면 세계에 '국학'적인 세계관이 적지 않게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번에 출간하는 『국학과 일본주의 : 일본 보수주의의 원류』는 일본 '국학'에 대해 5명의 전문 연구자가 다양한 시각에서 연구한 글을 실었다. 저자 박규태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문학석사 학위를,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양대학교 일본언어문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신도와 일..
박규태, 모토오리노리나가,, 동북아역사재단, 2011, 263쪽(역) 책소개 모토오리 노리나가는 72세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수많은 저작을 남겼는데, 고도(古道)·신도(神道)·모노가타리론, 가론 드의 문학은 물론 어학, 경세, 외교사 등 여러 분야에 걸쳐앴다. 그의 저작들은 일관적으로 당대 일본인들에게 "일본국가의 정체성, 일본인의 국민적 정체성은 무엇인가"라고 묻고 있다. 일본인들에게 자민족중심주의가 필연이라는 것과 민족의 영광을 환기시켜주려는 저작으로 당대 사상의 위기국면을 돌파하여 민족의식의 새 지평을 열고자 했던 그의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저자 모토오리 노리나가 1730년에 이세 마쓰자카의 상인 집안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부친이 병사한 후 모친의 배려로 1752년에 교토로 유학했다. 이곳에서 ..